본문 바로가기
각종 정보/(동물, 자연) 사전

[펭귄] 펭수의 가족 펭귄에 대해 알아보자~!

by 머니 토커 2021. 4. 27.
반응형

[펭귄] 펭수의 가족 펭귄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찌뿌선생입니다.

오랜만에 정보글을 올리는 것 같습니다.

4주나 되는 시간을 코로나로 인해 멈추다 보니 아무것도 못하고 있다가 이제야 정보를 올리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펭수의 가족 펭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생각보다 펭귄에 대한 캐릭터가 많은만큼 펭귄은 귀여우면서도 엉뚱한 면을 참 많이 갖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지금부터 펭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펭귄에 대한 캐릭터는 정말 많습니다.

펭수, 마다가스카 펭귄, 핑구 등 펭귄에 대한 행동도 귀엽고 이색적인 동물이라 그런 것 같습니다.

펭귄에 대해 참 재미있던 점은 펭귄이 추운날에 버틸 수 있는 이유인데요기름을 몸에 바른다는 점과 발바닥의 혈관이 열을 빼앗기지 않는 다는 점인데요펭귄의 털은 기본적으로 매우 빼곡하게 있어 일반 새에 비해 물이 털속으로 들어가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요추가로 여기에 기름칠을 계속 해주어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해 물이 털속으로 들어갈 수 없고 그 이유로 펭귄은 몸이 물에 젖지 않게 되는 것이죠.만약에 그렇지 않는다면 몸의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져 아마 펭귄은 남극에서 살 수 없는 환경이 될 것입니다.

 

또다른 점은 바로 펭귄의 발바닥인데요

우리는 기본적으로 몸속의 혈관이 쭉 뻗어있는 구조로 알고 있습니다.(모세혈관 제외)

그런데 펭귄은 이 혈관이 서로 엉켜있어 발바닥에서 외부로인해 온도가 낮아지면 바로 공급되는 혈관에 의해 빠르게 온도를 올려 심장으로 전달하게 됩니다.

 

사진에 나온 것은 윗부분은 일반 동물, 아랫부분은 펭귄(추운지방에서 사는 동물)의 발을 나타내는데요.

단순히 혈관이 붙어있는것으로 보이지만 사실 베베 꼬인 형태입니다.

발바닥을 지난 혈관의 온도 차이를 보면 확실히 빠르게 온도를 올려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펭귄은 추운지방에서 살 수 있도록 진화가 된 것이라 볼 수 있는데요.

생태계는 어떻게 되든 주변 환경에 맞게 적응 된다는 이 점이 저는 참 흥미로웠습니다.

 

이부분에 대해 참 흥미로웠고 영상을 만들며 이 부분에 대한 정보가 정확히 전달이 되지 않은 것 같아 추가적으로 설명을 적어보게 됩니다.

 

 

오늘은 귀여운 동물 펭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더욱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좋은하루 되세요~!

반응형